Spider Woman


KIM Hong Ki | Art Critic






“O mad Arachne, I am seeing you
already half spider, wretched on the ragged remnants of work
that you had wrought to your own hurt.”
Dante Alighieri, Divine Comedy-Purgatorio, XII 43-45.


    There was a woman from Lydia, who had extraordinary skills in weaving cloth. Although she did not belong to the lineage of God, she had magical skills, although she never was a daughter of family of high social status, she was renowned for her noble abilities. The name of this woman who appears in Greek mythology is Arachne. For her conceit in her weaving skills to be better than anyone else in the world, Arachne made the Goddess Athena outraged. When Arachne ended up in a weaving competition with the goddess, she vividly weaved the promiscuous love affair of Zeus, rather than being intimidated. Outraged by this, the Goddess tears apart Arachne’s work into tiny pieces and transformed this profane woman into a spider. That is how this pathetic creature came to be hung up in the air, weaving tough textiles with threads self-generated from its tail. The work that Arachne conducted using weft and warp was a thorough memetic representation. Everything in the world was represented with surprising plausibility at her fingertips. It was a representation that was so close to the real that it disturbed God. When copy, a work by humans, crossed the line boasting its dexterity and tries to breach the boundary into the realm of the real, a work by God, God mercilessly punishes,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exert control to defend the authority of the real from the copy. However, the time of Gods has come to an end. Promiscuous Zeus and strict Athena are also tales from distant old times. According to Baudrillard, the time of simulacra is open, where the image more real than the real is copied back by the real, there exists no God anymore who outrages and punishes.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Arachne persist on their lives, fulfilling their destinies without stopping weaving forever. Spiders live everywhere, ranging from ground and underground, and bushes and caves. They randomly hang threads, tightly and densely weave the coordinates of a unique world, and paralyze the senses of the prey that inadvertently entered there.

    Speaking of formidable skills, the main habitat of today’s spiders is the virtual space of digital technologies. Now, the image of the world woven by the spider is composed not of weft and warp, but of bit and pixel. Dexterity of the spider in the virtual space is even more powerful so that the record of speed of looming is broken by hertz, and the weave of textile is shown off by the marvelously huge rise in resolution. In an immaterial space, the spider’s presence is ubiquitous, being unbridled of the body, and spider web that imitates reality gains a wider dimension — the image of the world encompasses the world itself. Images on Google Maps become the original for your spatial perception and images on the navigation become an oracle for your driving route. Only when you pass the entrance door of the dense hypertext the world opens to you. To be specific, it is about the image of the world opening up to you, but your senses numbed by the poison of the spider do not try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CHUNG Heemin works along with the evolved spider, navigating through the numerous nets of the web and gathers images of various objects to fill the canvas. By arranging open source images from the Internet on the two-dimensional screen, CHUNG is searching for the subject matter of painting. Images of a still life that is not a still life, the image of a scene that is not a scene, an image of the human subject that is not human subject — those are the starting points of CHUNG’s work.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 original version in CHUNG’s work because the subject of the work itself is mimetic, a virtual image processed on the Internet. In other words, CHUNG’s work is a copy of the copy –– the image of the image. However, it is of course not a “repetition without a difference” that ends up being copied and pasted. CHUNG Heemin trades something with the spider. What CHUNG is handed by the spider seems to be obvious: immaterial images that embroider the world of the spider, virtual images weaved by bit and pixel, an image of the copy that is more real than the original. Then, how does CHUNG process and transform it? What was the process of the outcome as “image of image” that CHUNG returns to the spider?

    CHUNG Heemin makes a difference through a “blow-up” of the images of the world gathered from the web. Then, this “blow-up” includes two literal meanings, that is, “enlargement” and “explosion.” To begin with, in terms of the methodology of “enlargement,” the artist begins work by placing the subject matter for the still life such as fruits and vases on the table like still life painters in the past. However, his table is a virtual one unfolded by SketchUp –– a 3D modeling program –– and the still life objects are also digital images from 3D Warehouse. The artist excessively enlarges these arbitrarily arranged scenes and brings the unfamiliar images realized on the screen. Using masking tape and an air spray gun, CHUNG works hard to imitate them as sincerely as possible. The semi-abstract or semi-figurative paintings produced through this process expose the stitches and seam of the digital textile, which seemed to be very tight and dense. Where different planes meet, pixels of disparate density and chroma level appear, as if they were tacked or sometimes backstitched. It is to enlarge the digital image for visualization of the smallest geometric unit of the image that consists of the world of web.
In this way, by unraveling the thread of the digital image through exaggerated magnifying, CHUNG Heemin prepares a loose gap that runs through the world of the spider. After that, CHUNG leaves an amorphous vestige with the gel medium on the painted canvas, imbuing some incongruous sense into the “image of the image.” That is, to secretly emphasize the materiality of the painting through the differences in intensity of the mediums placed on the canvas. Therefore, his canvas is a place where immateriality of digital image and materiality of the painting are exchanged. There, while the artist wholeheartedly imitates an immaterial digital image, he manages to get into the gap in it and boastfully practice a material, painterly impulse. This precisely shows the paradoxical conditions contemporary artists face while pursuing artistic practice in the visual environment mediated by digital devices. The fascination towards the immateriality of the digital image and the aspirations for the materiality of canvas and paints coexist.
  Meanwhile, CHUNG Heemin adopts the second meaning of a blow-up or the methodology of a bombing. As if CHUNG mimicked Athena Goddess who ripped Arachne’s work in pieces, the artist deconstructs various kinds of images downloaded from the web and scatters those fragments on the canvas. For example, May Your Shadow Grow Less and Erase Everything But Love shows the ruins of digital images that have been bombed and scattered. On the canvas where a distorted image of the virtual vase is painted are shattered pieces of glass scattered everywhere, and countless images of hearts are scattered on the canvas depicting a scene of a rural landscape as if it exploded from some pressure. This time, too, using gel medium CHUNG left the marks of incongruousness, which puts emphasis on the materiality of the painting throughout the canvas so that the material weight and volume can be added on the fragments of the immaterial images.
But then, since CHUNG Heemin is not Athena the Goddess but a human, CHUNG does not have a right to punish today’s spiders for weaving illusionistic images that is more real than reality. Rather, in that the spider’s lineage is connected to the woman called Arachne, CHUNG forms a much closer kinship to the spider than to Athena the Goddess. Anyhow, the spider is the descendant of a human being, who is no different from CHUNG. The fact that CHUNG takes a resistant gesture of an explosion while copying the copy while being fascinated by the spider could be compared to the ambivalent feelings toward the unexpectedly incest-like nature of his relationship with the spider. It is about developing familiar, yet fearful or uncanny feelings when encountered with an unexpected relative. If this is the case, then, the artist tearing the image of the spider in shreds is not from a divine decision, but rather close to a gesture to negatively deconstruct the complexity inside of him.

    Explosions lead to catastrophe. That is because it is about exploding and breaking something. CHUNG Heemin’s paintings show the scenes of catastrophe. CHUNG’s canvas is filled with images that are torn apart, flipped over, and collapsed. But then, they are the scenes that seem rather futile than brutal. The scapegoat of the catastrophe is a mere image — it is an image that is woven with high dexterity, that is woven densely and tightly so that the real would reversely attempt to copy, but that exists as an illusion without any weight or volume. Whether it is an image of a hear that replaces emotions, or images that substitute memories, or an image doomed to be put into the trash bin and deleted, when they explode, nothing except its fragments remain. They are like masks without their wearers. There is no holder of emotions behind the mask of heart, and there is no holder of memories behind the mask of the timeline — this is a strange world of masks where the masks are substituting everyone, but are not worn by anyone. The work of the digital spider that CHUNG Heemin revealed through explosion is a vain spacetime composed of these masks — that is, a spacetime where identity evaporated and only personas are left. Towards this immense textile of the image, CHUNG feels fascination and fear at the same time. It is to be immersed in leaving one’s own identity behind the well-woven mask, but at the same time resisting against having the identity erased, on which one’s emotions and memories will be grounded. It is to be fascinated by the immateriality of the digital image while resisting with the materiality of the canvas and paints. In this way, when the familiarity and fear of the world of the spider collide inside of the artist, the flame that will blow the world away sparks up.

    On the way to purgatory, Dante reports that Arachne is sad over being almost half-spider. We are not able to know whether the spleen is remorseful about its bad luck, or rage towards its unfair fate. It can be both, or it can be something totally different. But then, if sadness is a human emotion, we can assume that Arachne is still half-human. And here is another woman, which is CHUNG Heemin’s Decent Woman. In this work, too, the image of this woman that CHUNG Heemin exploded is ripped apart and fragmented. At the center of this puzzle-like face that bears a weirdly subdued sadness, a spider is sitting in an indifferent manner. We do not know whether this woman is a portrait of Arachne or a self-portrait of CHUNG Heemin. It can be both, or it can be something totally different. We can only assume the spleen of the spider woman. As long as the sadness remains, the spider woman will not be completely captured in today’s enormous web. CHUNG Heemin’s sadness is a driving force to pursue the grounds for painting’s existence, by enlarging and exploding flat digital images. Therefore, the artist’s spleen is the artist’s identity. Is the fate of the spleen bliss or curse? Unfortunately, purgatory is where answers to this question are indefinitely postponed.









거미 여인


김홍기 | 미술비평






“오, 미친 아라크네여, 내 눈에 비친 너는,
어느덧 반쯤 거미가 되어, 너를 불행으로 이끈
작품의 찢긴 조각들 위에서 서러워하는구나.”

단테 알리기에리, <신곡-연옥편>, XII 43-45.


    베를 짜는 기예가 몹시 탁월한 리디아 출신의 여인이 있었다. 비록 신의 계보에 속하지 않았지만 신통한 재주를 부렸고, 결코 명문가의 딸이 아니었지만 고귀한 능력을 떨쳤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이 여인의 이름은 아라크네였다. 그는 자신이 세상의 누구보다도 직조하는 솜씨가 뛰어나다고 자만한 탓에 아테나 여신을 분노하게 만들었다. 급기야 여신과 베 짜는 시합을 벌이게 된 아라크네는 주눅이 들기는커녕 제우스가 벌인 난잡한 애정행각을 너무나 생생하게 직조해냈다. 이에 격노한 여신은 아라크네의 작품을 갈기갈기 찢었고 이 불경한 여인을 거미로 변신시켜 버렸다. 그리하여 이 가련한 피조물은 허공에 매달려 이제 꽁무니에서 스스로 자아낸 실로 얇고 질긴 피륙을 짜내기 시작했다. 아라크네가 씨실과 날실로 도모한 작업은 치밀한 모방적 재현이었다. 그의 손끝에서 세계의 만물이 놀랍도록 그럴듯하게 재현되었다. 실재와 너무나 흡사해서 결국 신의 심기를 건드리는 그런 재현이었던 것이다. 인간의 작품인 모방이 만용을 부리며 신의 작품인 실재를 넘볼 때 신은 가차없이 분노의 몽둥이를 휘둘렀다. 모방으로부터 실재의 권위를 지켜내는 통제가 가능했던 것이다. 그러나 어느덧 신들의 시대는 저물고 말았다. 난잡한 제우스도 준엄한 아테나도 아주 먼 옛날의 이야기일 뿐이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실재보다 더욱 실재적인 이미지를 오히려 실재가 다시 모방하는 시뮬라크르의 시대가 열렸다고 하는데, 이제는 이에 대해 분노하고 단죄하는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반면 아라크네의 후손들은 영원히 직조를 멈추지 않는 제 몫의 운명을 꿋꿋이 수행하며 살아가고 있다. 거미는 지상과 지하, 수풀과 동굴을 가리지 않고 서식한다. 이곳저곳에 무작위로 실을 걸어 팽팽하고 촘촘하게 고유한 세계의 좌표를 직조하고 그곳에 부지불식간에 입장한 먹잇감의 감각을 독으로 마비시킨다.

    세계를 모방하는 가공할 재주와 관련하여 오늘날 거미의 주요 서식지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가상공간이다. 이제 거미가 직조해내는 세계의 이미지는 씨실과 날실이 아니라 비트와 픽셀로 구성된다. 가상공간에서 거미의 솜씨는 더욱 막강해서 베틀질의 속도는 헤르츠의 단위로 매순간 경신되고 그 피륙의 짜임새는 해상도의 경이로운 폭증으로 과시된다. 비물질적인 공간에서 거미는 육체의 족쇄에서 풀려나 편재하고, 실재를 모방하는 거미줄은 월드 와이드한 차원을 획득한다. 세계의 이미지가 세계 자체를 너끈히 포섭한 것이다. 구글맵의 이미지가 당신의 공간 지각을 위한 원본이 되고, 내비게이션의 이미지가 당신의 주행 경로를 위한 신탁이 된다. 조밀한 하이퍼텍스트의 정문을 통과해야만 비로소 당신에게 세계가 열린다. 정확히 말하면 세계의 이미지가 열리는 것이겠지만 어차피 거미의 독으로 다소간 뻣뻣해진 당신의 감각은 현실과 가상을 뚜렷하게 구별하려 애쓰지 않는다.
그리고 정희민은 이렇게 진화한 거미와 더불어 작업한다. 그는 웹의 무수한 그물코를 헤집고 다니면서 여러 사물의 이미지를 채집하여 캔버스를 채운다. 인터넷의 오픈소스 이미지들을 평면의 스크린에 배치하면서 회화의 소재를 구하는 것이다. 정물이 아닌 정물의 이미지, 풍경이 아닌 풍경의 이미지, 인물이 아닌 인물의 이미지가 그의 작업의 출발점인 것이다. 따라서 그의 작업에 원본이란 없는 셈인데 왜냐하면 작업의 소재 자체가 이미 인터넷에서 가공된 모방적, 가상적 이미지이기 때문이다. 즉 그의 작업은 모방의 모방, 이미지의 이미지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단지 복사하기와 붙여넣기로 끝나는 ‘차이 없는 반복’은 물론 아니다. 정희민은 거미와 더불어 무언가를 거래한다. 그가 거미로부터 건네받은 것은 자명해 보인다. 그것은 거미의 세계를 수놓은 비물질적 이미지, 비트와 픽셀로 직조한 가상의 이미지, 실재보다 더욱 실재적인 모방의 이미지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그것을 어떻게 가공하고 변환하는가? 그가 거미에게 되돌려주는 ‘이미지의 이미지’는 어떠한 과정의 결과인가?

    정희민은 웹에서 가져온 세계의 이미지를 ‘블로우업(blow up)’함으로써 차이를 만들어낸다. 이때 ‘블로우업’은 사전적인 두 의미, 즉 ‘확대’와 ‘폭파’를 모두 포함한다. 먼저 ‘확대’의 방법론을 살펴보면, 작가는 과거의 정물화가들처럼 테이블 위에 과일이나 꽃병과 같은 정물의 소재들을 올려놓고 작업을 시작한다. 그렇지만 그의 테이블은 3D 모델링 프로그램 스케치업으로 펼친 가상의 테이블이며 그 위의 정물들도 3D 웨어하우스에서 가져온 디지털 이미지들이다. 작가는 이렇게 배치한 임의의 장면을 과도하게 확대하여 스크린에 구현된 낯선 이미지를 캔버스에 옮긴다. 마스킹 테이프와 에어스프레이 건을 동원해 최대한 충실하게 모방하려 애쓴다. 이렇게 만들어진 반추상 또는 반구상 회화는 매우 질기고 촘촘해 보이던 디지털 피륙의 바늘땀과 솔기를 노출시킨다. 면과 면이 맞닿은 자리에는 때로는 시침질한 것처럼 때로는 박음질한 것처럼 상이한 밀도와 채도의 픽셀들이 줄지어 나타난다.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하여 웹의 세계를 구성하는 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최소 단위를 가시화하는 것이다.
이처럼 정희민은 과장된 확대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올을 끌러 거미의 세계를 관통하는 성긴 틈새를 마련한다. 그리고 채색된 캔버스 위에 젤미디엄으로 군데군데 무정형의 자국을 남겨 ‘이미지의 이미지’에 어떤 이물감을 주입한다. 캔버스에 얹은 매체의 강도 차를 통해서 회화의 물성을 슬쩍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캔버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비물질성과 회화의 물질성이 거래되는 장소이다. 그곳에서 작가는 비물질적인 디지털 이미지를 성심껏 모방하면서도 그 틈새를 가까스로 비집고 들어가 물질적인 회화적 충동을 보란듯이 실천한다. 이는 디지털 기기에 의해 매개된 시각적 환경에서 작업을 추구하는 동시대 작가들이 직면한 역설적 조건을 정확히 보여준다. 디지털 이미지의 비물질성에 대한 매혹과 캔버스와 안료의 물질성에 대한 의욕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정희민은 두 번째 의미의 블로우업, 즉 폭파의 방법론을 구사한다. 마치 아라크네의 작품을 갈기갈기 찢었던 아테나 여신을 흉내내듯이 작가는 웹에서 내려받은 여러 종류의 이미지들을 해체시켜 그 조각들을 캔버스에 흩뜨려 놓는다. 예컨대 <May Your Shadow Grow Less>와 <Erase Everything But Love>가 이와 같이 폭파되어 널브러진 디지털 이미지의 폐허를 보여준다. 가상의 꽃병 이미지들이 다소 일그러져 그려진 캔버스에 사금파리 같은 파편들이 이곳저곳 흩어져 있기도 하고, 전원의 풍경이 그려진 캔버스에 무수히 많은 하트의 이미지들이 어떤 압력에 의해 폭발한 것처럼 흩뿌려져 있기도 하다. 그리고 이번에도 작가는 젤미디엄으로 회화의 물성을 강조하는 이물감의 자국을 캔버스 곳곳에 남겨 두어 비물질적인 이미지들의 잔해에 물질적인 무게와 두께를 덧입힌다.
그렇지만 정희민은 아테나 여신이 아니라 인간인 까닭에 오늘날의 거미가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환영의 이미지를 직조한 것에 대해 형벌을 내릴 자격이 없다. 오히려 그 거미의 혈통이 아라크네라는 여인에게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작가는 아테나 여신보다는 거미와 훨씬 더 가까운 친족관계를 형성한다. 어쨌든 거미는 그와 다를 바 없는 한 인간의 후손인 것이다. 그가 거미의 이미지에 매혹되어 모방을 모방하면서도 그것에 저항하여 폭파의 제스처를 취하는 것은 그와 거미 간의 뜻밖의 근친성에 대한 양가적 감정에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예기치 못한 동족과 대면함으로써 친숙하고도 두려운, 이른바 언캐니한 감정을 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작가가 거미의 이미지를 갈가리 찢는 것은 거미를 처벌하는 신적인 결단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자기 내면의 복합성을 부정적으로 해체하는 제스처에 가까워 보인다.
폭파는 파국으로 이어진다. 무언가를 터트리고 깨뜨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희민의 회화도 파국의 장면을 보여준다. 찢어지고 뒤집히고 무너진 이미지들이 그의 캔버스에 즐비하다. 그런데 그것은 참혹하기보다는 차라리 허망한 장면이다. 파국의 희생양은 그저 이미지일 뿐이다. 극히 탁월한 솜씨로 직조된, 현실이 거꾸로 모방하려 할 만큼 촘촘하고 튼튼한 짜임새를 갖춘, 그렇지만 무게도 두께도 없이 환영처럼 존재하는 이미지일 뿐이다. 감정을 대신하는 하트의 이미지든, 기억을 대신하는 타임라인의 이미지든, 또는 휴지통에 쑤셔박혀 삭제될 운명에 처한 이미지든, 그것들이 폭파되면 그 파편들 외에 드러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것들은 주인 없는 가면과도 같다. 하트의 가면 뒤엔 감정의 주인이 없고, 타임라인의 가면 뒤엔 기억의 주인이 없다. 모두를 대신하고 있지만 아무도 쓰고 있지 않은, 이상한 가면의 세계인 것이다. 정희민이 폭파시켜 드러난 디지털 거미의 작품은 이처럼 가면으로 이루어진 허망한 시공간이다. 정체성은 증발하고 페르소나만 남겨진 피상적인 시공간이다. 그는 이 거대한 이미지의 피륙에 매혹과 공포를 동시에 느낀다. 잘 짜인 가면 뒤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버리는 데 도취하면서도 자신의 감정과 기억이 정박할 정체성을 지우는 데 저항하는 것이다. 디지털 이미지의 비물질성에 매료되면서도 캔버스와 안료의 물질성으로 저항하는 것이다. 이처럼 작가 안에서 거미의 세계에 대한 친숙함과 두려움이 맞부딪칠 때 그 세계를 폭파할 불꽃이 튄다.

    연옥의 길목에서 단테는 아라크네가 반쯤 거미가 되어 서러워하더라고 전한다. 그 서러움의 정체가 기구한 신세에 대한 회한인지 부당한 운명에 대한 분노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둘 다일 수도 있고 아예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다만 서러움이 인간의 마음이라면 아라크네는 여전히 반쯤은 인간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리고 여기 정희민의 <Decent Woman>이라는 또 다른 여인이 있다. 이번에도 정희민이 폭파시킨 이 여인의 이미지는 찢어지고 조각나 있다. 기묘하게 서러운 표정을 짓고 있는 이 퍼즐 같은 얼굴의 한복판에는 거미 한 마리가 무심코 앉아 있다. 이 여인이 아라크네의 초상인지 정희민의 자화상인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둘 다일 수도 있고 아예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다만 거미 여인의 서러움을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다. 그 서러움이 남아 있는 한에서 거미 여인은 오늘날의 거대한 거미줄에 완전히 포박되지 않을 것이다. 정희민의 서러움은 납작한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하고 폭파하면서 회화의 존재근거를 추구하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그러므로 작가의 서러움은 곧 작가의 정체성인 것이다. 이것은 축복인가? 아니면 저주인가? 안타깝게도 연옥은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이 무한정 유예된 곳이다.






©2023 Heemin Chung
All pictures cannot be copied without permission.